본문 바로가기

++ MAKE IT/: Git

소스트리 (SourceTree)를 이용하여 Git을 쉽게 사용해 보자. (설치편)

■ 소스트리(SourceTree)


소스트리는 Atlassioan에서 개발한 git을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GUI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사용은 무료이며 윈도우와 Mac을 지원합니다.  git명령어는 커맨드 형식으로 입력하게 되어 있어 초심자가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git을 직접 다루기 어려운 경우에는 소스트리를 사용하여 git의 장점을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소스트리는 git이 아닙니다. 다만 이용이 쉽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죠. 따라서 소스트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git을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 git 설치


https://git-scm.com/downloads  ←이곳을 방문하면 각 OS를 지원하는 git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설치형과 포터블형이 있는데 저는 설치형을 다운받아 설치 하였습니다.

설치 도중 중간에 기본편집기를 정하라는 부분이 있는데 저는 nano를 선택했습니다.

notepad++이 설치 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하고 계속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계속 Next를 눌러 설치를 합니다.


■ 소스트리 설치


https://www.sourcetreeapp.com/  ←이곳을 가면 소스트리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리눅스OS는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Atlassian 계정을 선택하고 가지고있는 구글계정으로 로그인 합니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등룍완료!' 라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도구 설치 부분에서 Git은 이미 설치가 되어 있어 선택이 비활성되어 있을 것 입니다.

Mercurial은 선택해제 하고 진행합니다.

ssh 키를 불러올지 물어보는데 현재는 없기 때문에 그냥 넘어갑니다.

나중에 지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로컬저장소를 지정하라는 화면이 나오면 설치 및 설정이 일단 끝난것 입니다.



일단 git과 소스트리를 설치 하는 과정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은 gitlab에 계정을 만들고 소스트리와 연결한 후 git을 이용하여 파일을 저장소로 옮기는 과정을 해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