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MAKE IT/: Git

(4)
소스트리(SourceTree)를 이용하여 Gitlab에 연결하기 *** 연 관 글 ***git활용 설치형 Github Gitlab을 활용해 보자.설치형 Github Gitlab을 라즈베리파이/오드로이드에 설치하는 방법소스트리(SourceTree)를 이용하여 Git을 쉽게 사용해 보자. (설치편) ■ Gitlab 계정 및 프로젝트 생성 Gitlab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Gitlab서비스에 가입을 해야합니다. 웹서비스 형과 설치형이 있으니 원하는 곳에 가입을 합니다. 저는 오드로이드 서버에 라즈베리파이용 Gitlab을 설치하여 개인적인 저장소로 활용하겠습니다. 가입후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프로젝트 이름을 넣어주고 공개레벨을 선택한 후 Create porject를 누르면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상단 주소창에 프..
소스트리 (SourceTree)를 이용하여 Git을 쉽게 사용해 보자. (설치편) **** 연 관 글 ****git활용 설치형 Github Gitlab을 활용해 보자.설치형 Github Gitlab을 라즈베리파이/오드로이드에 설치하는 방법소스트리(SourceTree)를 이용하여 Gitlab에 연결하기 ■ 소스트리(SourceTree) 소스트리는 Atlassioan에서 개발한 git을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GUI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사용은 무료이며 윈도우와 Mac을 지원합니다. git명령어는 커맨드 형식으로 입력하게 되어 있어 초심자가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git을 직접 다루기 어려운 경우에는 소스트리를 사용하여 git의 장점을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소스트리는 git이 아닙니다. 다만 이용이 쉽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죠. 따라서 소스트리를 ..
우분투 16.04 - 설치형 Github Gitlab을 라즈베리파이/오드로이드에 설치하는 방법 **** 연 관 글 ***** git활용 설치형 Github Gitlab을 활용해 보자.소스트리 (sourcetree)를 이용하여 git을 쉽게 사용해 보자. (설치편) ■ Gitlab의 특징 Gitlab은 Github와 같이 버젼관리 서비스이며 무료로 설치형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 16.04가 os으로 설치되어 있는 오드로이드(라즈베리파이)에 설치 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 GitLab 설치 기본적을 https://about.gitlab.com/installation/ 의 설치 가이드를 따르면 되겠지만 가이드 만으로는 부족함을 느껴 몇가지 추가로 설명드립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리눅스 서버에 Gitlab을 설치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서버를 가지고 있지 않으신 분들은 온..
git활용 설치형 Github Gitlab을 활용해 보자. **** 연 관 글 ****설치형 Github Gitlab을 라즈베리파이/오드로이드에 설치하는 방법소스트리 (SourceTree)를 이용하여 Git을 쉽게 사용해 보자. (설치편)소스트리(SourceTree)를 이용하여 Gitlab에 연결하기 ■ GitLab이란? 우분투 16.04 - 설치형 Github Gitlab을 라즈베리파이/오드로이드에 설치하는 방법git은 개발된 이후, 개발자들에게 버전관리도구로서 많은 사랑을 받아오고 있습니다. 일단 버전 관리도구라는 것이 생소한 분들이 있을 텐데요. 간단히 설명하자면, 코드 작성할때 한번에 처음부터 끝까지 작성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여러차례에 걸쳐서 작성한 코드를 수정하기도 하고 때로는 수정한 코드를 예전으로 원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만약 우리가 하..